● 대상 : 여성
- 몸과 마음에 있는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싶은 여성
- 활기찬 생명력을 회복하고 싶은 여성
- 마음의 평화를 통해 조화로운 삶으로의 균형과 성장을 원하는 여성
- 삶을 아름답게 가꾸는 명상에 관심 있는 여성
● 기대효과와 목적
- 자신을 존중하고 긍정하는 자존감 회복
- 마음의 평화를 얻고, 넘치는 생명력 기르기
- 몸과 마음의 이완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공감능력 향상
- 마음의 치유를 통해 자기 안에 잠재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, 세상과 소통하기
- 삶에 대한 자세와 시각 전환, 확장을 통한 더 풍요롭고 평화로운 나와 세상을 만들어가기
● 수업 구성과 내용 : 총 8회기
제목과 설명 |
체험 내용 |
1강. <겨울에서 봄으로- 이완>
몸과 마음을 이완 시키는 호흡 명상을 통해, 온전하게 쉬는 것을 체험해 봅니다. |
- 프로그램 소개와 안내 - 초대의 시와 오프닝 의식 - 이완을 돕는 움직임 - 호흡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 이완하기 - <이야기 : 명상이란?> - 마인드 힐링 명상 |
2강.<삶의 무게 내려놓기>
삶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, 몸과 마음을 비우고, 온전한 평화와 자유를 누려 봅니다. | - 어깨와 등을 이완하는 움직임 - 몸과 마음을 비우는 명상 - 시詩를 통한 마음 비추기 - <이야기: 마음의 습관 이해하기> - 나에게 사랑을 보내는 명상 |
3강. <나의 삶에 감사하기>
몸과 마음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봅니다. 현재 주어진 나의 인생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삶의 경이로움을 실감해 봅니다. | - 나의 삶을 표현하는 움직임 - 자존감을 강화 시키는 명상 - 전신 자화상 그리기 - <이야기 : 참나란 무엇인가> - 내 삶에 감사하는 명상 |
4강.<온전한 나 꽃피우기>
가슴을 열어 생각으로 만들어놓은 나로부터 해방되어 온전한 나의 삶을 꽃피워 진정한 참나를 만나봅니다. | - 여는 명상 - 사랑의 유기압법 배우기 - 미러링 움직임 - 대나무 숲에서 하는 이야기 - 사랑의 빛으로 나를 채우는 명상 - 축복 명상 |
5강. <그림자 안아주기>
내 안의 그림자들을 바라보고 포용합니다. 온전한 참 나를 찿아 평화를 누려 봅니다. | - 등과 관련한 움직임 - 용서 명상 - 시詩를 통한 스토리텔링 - <이야기:존재 방식을 변화시키기> - 마인드 힐링 명상 |
6강. < 다시 태어나기 >
우리는 모두 연결된 존재임을 느껴보며 , 모두가 축복받은 존재라는 것을 실감해 봅니다. | - 참나를 지지하는 움직임 - 축복명상 -공감의 선물을 나누는 소그룹 작업 -서로에게 사랑을 보내는 명상 |
7강. <여성. 우주를 품다>
내 안의 건강한 여성성과 모성으로 나 자신과 다른 존재들을 안아주고, 나아가 이 세상과 온 우주를 품어보는 축복과 행복을 누려봅니다. | - 골반에 관한 움직임 - 골반, 자궁을 통해 생명과 창조성에 관한 그림 작업 - 세상을 축복하는 명상 - <이야기: 이타심이란 무엇인가> |
8강. <지금 여기, 행복으로 머물기>
지금, 이 순간 행복 합니다. 우리는 모두 축복받는 존재입니다. 나와 세상을 향해 축복을 나누며 평화와 행복을 누려봅니다. | - 경이로운 삶을 위한 축제의 움직임 - 써클댄스와 노래 - 전신 자화상 축복하기 - 클로징 의식 - 마음 나누기 - 평화 명상 |
※ 상기 내용과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, 수정될 수 있습니다.
※ 본 프로그램은 한겨레에서 개발한 SEIV명상과 마인드 힐링을 중심으로 하는
프로그램으로 명상과 함께 몸을 통한 움직임과 미술, 시를 활용한 문화예술적
요소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.
※ SEIV명상 : 영성(Spirituality), 감성(Emotionality), 지성(Intelligence), 생명력(Vitality)
4가지 요소를 조화롭게 만드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입니다.
● 일정 : 4월 24일(목)~6월 12일(목)/ 매주 목요일
오후 7시~ 오후 9시 30분(주 1회, 1일 2시간 30분, 총 8강)
● 교육비 : 240,000원
● 장소 : 프란치스코 교육회관(서울 중구 정동/지하철 서대문역 5번 출구, 도보 5분)
『신청방법』
- 한겨레휴센터 홈페이지(www.hanihu.com)에서 신청 및 결제
- 또는 전화접수 후 온라인 입금 / 입금계좌
하나은행 555-910001-67904 예금주 한겨레신문
- 입금후 취소시 평생교육법 시행령23조에 의거 위약금 공제
● 문의전화 : 한겨레 휴센터(02-710-0745)